티스토리 뷰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희망적금/청년지원금
미래의 자산이자 경제 사회구조 전환의 핵심 동력이 될 청년층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고용·생활안정을 위한 지원 강화
정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한국판 뉴딜 2.0 추진계획을 14일 발표했습니다. 기존 청년 자산형성 지원제도의 대상을 중소·중견기업 근로자에서 모든 청년으로 확대하고, 소득계층별로 맞춤형 자산형성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는데요.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희망적금 등 청년지원정책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소득계층별 맞춤형 자산형성>
: 청년내일저축계좌(연소득 2,200만원 이하), 청년희망적금(총급여 3,600만원 이하)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총급여 5,000만원 이하)하여 소득 수준별로 차별화를 두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자 조건
- 연 소득이 2천200만원(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청년,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지원금
- 월 10만원을 저축하면 차상위계층 이하는 30만원, 나머지는 10만원을 정부가 지급
- 기존의 주거·교육수급가구와 차상위 계층(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청년이 10만원씩 저축하면 30만원의 근로소득장려금을 보태주는 청년저축계좌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지원 대상을 기준중위소득 100%까지 확대하는 것 입니다.
- 3년 만기를 채우면 차상위계층은 1천80만원을 지원받아 1천440만원을, 나머지는 360만원을 지원받아 720만원의 목돈마련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대상자 조건
-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천600만원 이하 청년을 대상
청년희망적금 혜택 지원금
- 납입한도 : 2년 만기로 연 600만원까지
- 1년 차에는 2%, 2년 차에는 4% 저축장려금 지급
- 2년 후 1천200만원을 저축하면 은행 금리와 별개로 36만원(원금의 3%)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대상자 조건
- 총급여 5,000만원 이하의 청년들을 위해 지원합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혜택 지원금
- 총급여 5천만원 이하 청년을 위해서는 펀드 납입액의 40%를 연말정산 때 소득에서 공제해주는 장기펀드를, 연간 납부 한도는 600만원, 펀드 투자 기간은 3∼5년 입니다. 3년후 1,800만원과 펀드수익을 얻게 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혜택 업업
장병내일준비적급 업그레이드
- 적금 원리금에 3대 1 비율로 지원금을 지원합니다.
- 현재 시행하고 있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연 5%대 은행 금리에 정부가 1%포인트 추가 금리를 지원하는 정기적금인데요. 금리가 높은 데다 이자소득에 세금을 매기지 않아 군장병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한국판 뉴딜 정책을 통해 이런 금리·비과세 혜택에 더해 2022년부터 원리금의 3분의 1을 정부가 추가로 지급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혜택 지원금
- 월 납부 한도는 40만원으로, 육군 기준 18개월 복무기간에 40만원씩 , 사회복귀시 1천만원 수령
- 원금 754만원에 정부가 251만원을 더 지급하는 셈입니다.
- 기존 가입자도 제도 시행 이후 납부한 금액에 대해서는 3대 1로 비율로 지원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청년주거지원 및 주택금융지원 강화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희망적금/장병내일준비적금 뿐만아니라 주거안정을 위해 대출요건을 완화하고 주택금융지원을 강화합니다.
주거관련 대출 요건 완화 등 주택금융지원 강화
-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기준 확대(연소득 2천만→5천만) 및 청년 월세 무이자 대출 추진, 공적전세대출보증 보증금 기준 5→7억원, 주금공 전세금반환보증 한도 5→7억원 등
청년주거비 지원제도 연장
- 중소기업 취업 청년 보증금 대출(금리 연 1.2%) 일몰기한 연장(’21→’23년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기간 연장(~2023년)
- 저소득 청년에게 월 20만원까지 월세를 무이자로 대출 발표
국가장학금 지원 한도 상향
청년층의 교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국가장학금 지원 한도를 인상합니다.
- 기초·차상위가구 대학생 지원액을 기존 연간 52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다자녀가구의 셋째부터는 전액을 지원합니다.
또한 취업 후 학자금 상환 대출(ICL) 지원 대상을 대학원생까지 확대하고 미취업청년(~만34세) 최장 5년 상환유예 채무조정 지원도 확대합니다.